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인공위성개발원 같이 알아보자
    직업의 정보가 궁금해? 2019. 3. 13. 15:00
    반응형


    인공위성개발원(유사직업명: 인공위성연구원)

    핵심능력

    창의력, 언어능력, 수리논리력

    관련학과/관련자격

    관련학과: 우주과학과 , 항공우주공학과



    하는일

    - 인공위성개발원은 우주탐사, 기상예보 등의 다양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인공위성을 연구, 개발하는 일을 담당한다.

    - 인공위성 및 인공위성과 관련된 분야에 대한 전문적 지식과 기술을 활용하여 목적에 맞는 인공위성을 연구, 개발, 설계한다.

    - 인공위성이 궤도에 도달하도록 유도하며, 위성으로부터 보내진 탐사자료를 분석한다.

    - 시장조사와 세계 인공위성개발의 기술변화 등에 대해 분석하여 인공위성의 기술적 성능의 개선 및 개발에 참고한다.

    - 개발한 인공위성의 성능을 시험하며, 발견된 인공위성의 결함 원인에 대해 분석하여 해결책을 제시한다.



    적성 및 흥미

    - 기본적으로 수학, 확률 등에 대한 흥미와 재능이 있어야 하며, 항공우주학 등 직무와 관련된 학문에 대한 지식이 요구된다.

    - 새로운 기술에 대한 정보수집, 관리 및 활용능력, 창의성, 그리고 문제해결을 위한 논리적 사고력 등이 요구된다.

    - 여러 명이 함께 공동 작업을 하는 일이 많으므로 원만한 인간관계능력을 형성하고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.

    - 탐구형과 현실형의 흥미를 가진 사람에게 적합하다.



    취업현황

    입직 및 취업방법

    - 공채나 특채를 통해 항공기술연구소, 국방과학연구소, 과학기술원 등의 연구기관 등에 채용될 수 있다.



    고용현황

    - 인공위성개발원이 포함된 전자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의 종사자수는 55,100명이며, 이 가운데 임금근로자는 54,500명(98.9%)이다. 

    - 인공위성개발원이 포함된 전자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의 성비는 남자 94.7%, 여자 5.3%이며, 평균 연령은 41.4세이다. 전체적으로 평균 16.2년의 학력을 보유하고 있으며, 평균 계속 근로연수는 10.5년이다.



    준비방법

    정규 교육과정

    - 인공위성개발원이 되기 위해서는 대학교의 항공우주 관련 학과를 졸업하는 것이 유리하며, 업계에 따라서는 석사 이상의 학위를 요구하기도 한다.



    직업전망

    - 통신수단과 우주탐험의 수단으로서, 국가적 중요성을 가지고 있는 인공위성개발사업에 대한 국가적 차원의 투자와 지원이 대대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. 

    - 인공위성개발원이 포함된 전자공학기술자의 일자리전망 점수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.

    - 인공위성개발원이 포함된 전자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은 다른 직업과 비교하여 임금과 복리후생이 매우 높은 편이다. 

    - 전자산업의 꾸준한 성장과 발전으로 인해 일자리 창출 및 성장이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으나, 취업경쟁은 치열한 편이다. 

    - 연구직으로서 정규직 고용과 고용유지가 높아 고용이 안정적인 편이다. 

    -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고 그에 따른 대우를 받으므로 개인적인 발전가능성이 매우 높은 편이다. 

    - 근무환경은 좋으나, 출장이 잦고 정신적인 스트레스가 많은 편이다. 

    - 관련 분야에 대한 고도의 전문지식이 필요하며, 업무에서의 자율성 및 권한이 큰 편이고, 사회적 평판이 긍정적이다. 

    - 성별에 따른 차별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.



    임금수준

    - 인공위성개발원이 포함된 전자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의 월평균 수입은 388만원이다.



    클릭한번으로 공감 번씩만 부탁드릴께용!

    반응형

    댓글

Designed by Tistory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