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대기환경기술자 같이 알아보자
    직업의 정보가 궁금해? 2019. 2. 16. 20:53
    반응형


    대기환경기술자(유사직업명: 대기환경전문가)

    관련학과/관련자격

    관련학과: 대기과학과 , 환경공학과 , 환경과학과 , 환경보건학과

    관련자격: 대기환경산업기사 , 대기환경기사 , 대기관리기술사



    하는일

    - 대기환경기술자는 대기오염상태를 측정하고 대기오염의 방지 및 개선에 대한 방법을 연구하고, 대기오염방지시설을 설계개발하는 일을 담당한다.

    - 대기오염측정 및 분석도구를 사용하여 지역의 대기오염상태를 측정ㆍ분석하고, 대기오염물질을 제거하거나 대기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고 실험한다.

    - 대기오염을 최소화하거나 제거할 수 있는 오염방지시설이나 장치 등에 대해 연구ㆍ설계하여 대기오염방지대책을 제시한다.

    - 방지시설의 타당성검토·시공감리·운전상의 문제점 등을 점검·조치한다.

    - 환경통제 또는 환경보호 분야를 전문으로 연구·개발하기도 한다.



    적성 및 흥미

    - 환경과 생물에 관해 일어나는 현상들에 대해 호기심이 많고 탐구적인 활동을 좋아하는 사람에게 유리하다.

    - 새로운 사실을 알아내기 위해 조사나 연구 활동을 진행해야 하기 때문에 창조적인 아이디어를 만들 수 있는 창의력을 가진 사람에게 유리하다.

    - 반복되는 장시간의 실험과 자료를 분석해야 하고 물이나 공기 등의 주변 환경에 대한 오염물질을 찾아내어 연구를 진행해야 함으로 꼼꼼함과 인내심을 요구한다.

    - 환경문제와 관련된 원인을 찾아내고 정확하게 해결할 수 있는 논리력이 필요하며, 많은 사람들의 생활과 관련 있는 환경을 다루는 일을 함으로 자신의 맡은 바 책임을 다하는 신뢰성과 책임감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.

    - 환경공학과 관련된 작업들은 통계적인 수치로 대기나 토양, 수질의 오염을 분석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수리력과 분석력이 요구된다.



    취업현황

    입직 및 취업방법

    - 공채나 특채를 통해 환경영향평가 관련 사업체, 환경 보전 관련 사업체 등에 채용될 수 있다.



    고용현황

    - 대기환경기술자가 포함된 환경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의 종사자수는 14,600명이며, 이 가운데 임금근로자는 14,200명(97.3%)이다. 

    - 대기환경기술자가 포함된 환경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의 종사자수의 성비는 남자 75.1%, 여자 24.9%이며, 평균 연령은 39.3세이다. 전체적으로 평균 16.8년의 학력을 보유하고 있으며, 평균 계속 근로연수는 8.6년이다.



    준비방법

    정규 교육과정

    - 대기환경기술자가 되기 위해서는 대학교의 대기과학 관련 학과를 졸업해야 하며, 연구소나 업체에 따라서는 석사 이상의 학위를 요구하기도 한다.

    관련 자격증

    - 관련 국가자격증으로는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대기관리기술사, 대기환경기사 및 산업기사가 있다.



    직업전망

    - 대기환경기술자가 포함된 환경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은 다른 직업과 비교하여 임금과 복리후생이 높은 편이다. 

    - 정규직 채용 비율이 높고 연구의 연속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고용유지 또한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.

    - 능력에 따른 승진가능성이 높고 직장이동가능성이 높아 발전가능성이 높은 편이다. 

    - 근무시간이 길지 않고 정신적ㆍ육체적 스트레스가 적어 근무여건이 좋은 편이다. 

    - 높은 수준의 전문지식이 필요하며 업무에서의 자율성 및 권한을 비교적 보장받는 편이다. 

    - 전문직으로 사회적 평판이 높고 공공에 대한 기여도 및 소명의식이 높아 전반적인 직업전문성이 높게 평가된다.



    임금수준

    - 대기환경기술자가 포함된 환경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의 월평균 수입은 364만원이다.



    클릭한번으로 공감 번씩만 부탁드릴께용!

    반응형

    댓글

Designed by Tistory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