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도금원 같이 알아보자
    직업의 정보가 궁금해? 2019. 2. 17. 13:00
    반응형


    도금원(유사직업명: 도금기조작원, 귀금속도금원, 전기도금원)

    관련학과/관련자격

    관련학과: 금속공학과 , 표면처리과 , 화학공학과 , 화학과

    관련자격: 표면처리산업기사, 표면처리기능장 , 표면처리기술사



    하는일

    - 도금원은 금속제품의 부식과 마모를 방지하고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품 또는 부품의 표면에 금속이나 합금의 얇은 막을 입히는 일을 담당한다.

    - 도금 작업을 할 표면을 청결하게 하고, 전기도금, 아연도금 등의 도구를 준비하여 제품의 표면에 금속이나 합금의 얇은 막을 입히는 도금 작업을 수행한다.

    - 도금이 끝나면, 도금한 제품을 깨끗하게 물로 세척하여 건조시킨다.

    - 보호 또는 장식 코팅을 하고 표면을 재생하기 위하여 용융금속이나 기타 물질을 분무하는 데 사용되는 장비를 조작한다.

    - 화학물로 처리하거나 가열하여 금속제품에 부식방지를 막아주는 장비를 조작한다.



    적성 및 흥미

    - 제품의 표면에 금속이나 합금의 얇은 막을 입히는 도금작업은 체계적 조작과 정밀을 요하므로 세심함, 꼼꼼함 등이 요구되며, 도금기기를 원활하게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된다.

    - 도금작업을 수행할 때, 전기, 열 등을 많이 사용하므로 안전사고에 대해 주의하는 자세가 필요하다.

    - 현실형과 사회형의 흥미를 가진 사람에게 적합하며, 협조심, 남에 대한 배려, 사회성 등을 성격을 가진 사람들에게 유리하다.



    취업현황

    입직 및 취업방법

    - 공채나 교육기관 소개 등을 통해 금속제품 제조업체 등에 채용될 수 있다.



    고용현황

    - 도금원이 포함된 도금 및 금속분무기 조작원의 종사자수는 25,500명이며, 이 가운데 임금근로자는 23,300명(91.4%)이다. 

    - 도금원이 포함된 도금 및 금속분무기 조작원의 성비는 남자 85.1%, 여자 14.9%이며, 평균 연령은 41.8세이다. 전체적으로 평균 11.7년의 학력을 보유하고 있으며, 평균 계속 근로연수는 6.3년이다.



    준비방법

    정규 교육과정

    - 도금원이 되기 위해서는 고등학교 졸업 이상의 학력이 요구된다.

    직업 훈련

    - 직업전문학교에서 전기도금과 관련된 훈련 및 교육을 받을 수 있다.

    관련 자격증

    - 관련 국가자격증으로는 표면처리기술사(기능장, 산업기사) 등이 있다.



    직업전망

    - 도금원이 포함된 도금 및 금속분무기 조작원은 다른 직업에 비해 임금과 복리후생 수준이 비교적 높은 편이다.

    - 일자리 창출과 일자리 성장이 비교적 활발하며, 도금 및 금속분무 분야의 열악한 근무조건 때문에 청년층의 진입 기피와 숙련공 양성 체계의 부재에 따른 인력의 공급부족으로 취업경쟁은 치열하지 않은 편이다. 

    - 영세업체가 많고 시장의 미래가 불투명하여 고용이 불안정한 편이다. 

    - 기술력을 보유한 근로자라면 승진이나 더 좋은 조건의 직장으로의 이직이 가능하다. 

    - 과거에 비해 작업장의 자동화가 이루어지고 있어 작업환경이 향상되고 있는 추세이나, 아직은 물리적 환경이 좋은 편이 아니며 육체적 스트레스가 다소 있는 편이다. 

    - 금속분무기의 조작은 간편하고 업무 숙달이 용이하다. 그러나 힘을 사용하는 작업이 많아 여성과 고령자에게는 다소 제한이 있다.



    임금수준

    - 도금원이 포함된 도금 및 금속분무기 조작원의 월평균 수입은 207만원이다.



    클릭한번으로 공감 번씩만 부탁드릴께용!

    반응형

    댓글

Designed by Tistory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