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방송연출가 같이 알아보자
    직업의 정보가 궁금해? 2019. 2. 19. 16:30
    반응형


    방송연출가(유사직업명: 드라마 프로듀서, 라디오 제작 프로듀서, 스포츠 프로듀서, 쇼 프로듀서, 뉴스 프로듀서, 방송PD)

    핵심능력

    공간시각능력, 창의력, 대인관계능력

    관련학과/관련자격

    관련학과: 광고기획과 , 광고홍보학과 , 국어국문학과 , 문예창작과 , 문예창작학과 , 방송영상과 , 방송제작과 , 사회학과 , 신문방송학과 , 언론홍보학과 , 연극영화과 , 연극영화학과 , 영상제작과 , 인터넷방송과



    하는일

    - 방송연출가는 라디오 또는 텔레비전의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제작한다.

    - 시나리오작가를 선정하여 제작될 프로그램의 계획을 설명하고 완성된 대본을 평가한다.

    -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이에 적당한 방송 작가와 제작진, 연기자들을 선출한다.

    - 완성된 대본을 평가하고 배역을 정하며, 의상, 무대배경, 음악, 카메라작업, 시간배정 등을 결정하기 위해 제작진과 협의하고 제작에 참여하는 모든 사람들의 활동을 조정한다.

    - 촬영일정을 결정하고 장소섭외, 무대배경설치, 소품 및 장비준비 등을 지시하여 촬영, 녹화를 총지휘한다.

    - 주어진 예산 한도 내에서 프로그램을 제작하기 위해 제작에 드는 예산과 지출을 검토, 조정한다.



    적성 및 흥미

    - 방송연출가(프로듀서)는 창의력과 독창적인 아이디어가 있어야 하며 많은 사람들을 지휘할 수 있는 통솔력과 위기 대처 능력이 있어야 한다.

    - 다양한 정보에 대해 폭넓게 수용하는 태도가 필요하며 신체적인 건강과 원만한 대인관계가 요구된다.

    - 진취형과 예술형의 흥미를 가진 사람에게 적합하며, 리더십, 적응성, 책임감 등의 성격을 가진 사람들에게 유리하다.



    취업현황

    입직 및 취업방법

    - 지상파 방송사의 방송연출가(프로듀서)가 되기 위해서는 각 방송사에서 실시하는 공개채용에 합격해야 한다. 

    - 지상파 방송국의 공채시험에 합격하기 위해서는 언론고시라 불릴 정도로 힘든 공개채용시험에 합격해야 한다. 지상파 방송사의 공개채용시험의 경쟁률은 굉장히 높다. 

    - 케이블방송국[전국200여개社], 위성 방송국 [50여개 사], 프로덕션사[전국150여개社], 기업체 사내 방송국, 인터넷 방송국 등의 경우에는 인맥이나 사설방송교육학원 추천 등으로 취직할 수 있다.



    고용현황

    - 방송연출가가 포함된 감독 및 기술감독의 종사자수는 25,000명이며, 이 가운데 임금근로자는 20,600명(82.4%)이다. 

    - 방송연출가가 포함된 감독 및 기술감독의 성비는 남자 78.5%, 여자 21.5%이며, 평균 연령은 36.5세이다. 전체적으로 평균 15.6년의 학력을 보유하고 있으며, 평균 계속 근로연수는 6.6년이다.



    준비방법

    정규 교육과정

    - 방송연출가가 되기 위해서 필요한 학력, 전공의 제한은 없으나 대학교에서 신문방송학, 연극영화학, 영상예술학, 방송영상학 등을 전공하면 취업하는데 유리하다.

    - 대학교의 신문방송학과에서는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이해와 미디어 활용 및 실무 능력을 익힐 수 있다.

    직업 훈련

    - 방송아카데미 등 사설방송관련 교육기관에서 방송연출가가 되기 위한 교육과 훈련을 받을 수 있다.

    관련 자격증

    - 특별히 요구되는 국가공인자격증은 없지만, 주요 지상파방송사 등 채용시험 응시 시 TOEIC 공인영어성적 제출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다. 또 KBS에 입사지원 할 경우 KBS한국어능력시험 성적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. 

    - TOEIC(Test of English for International Communication)은 미국 ETS가 상업 및 국제적 공용어로서의 영어 숙달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개발한 시험 제도이다. 



    직업전망

    - 방송연출가가 포함된 감독 및 기술감독은 다른 직업과 비교하여 임금이 높으나 복리후생이 좋지 않은 편이다. 

    - 일자리의 창출과 성장이 제한적으로, 취업경쟁 또한 치열한 것으로 나타났다.

    - 사회, 문화, 예술 등 다양한 방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므로 자기개발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.

    - 근무시간이 길고 매우 불규칙하며 물리적 환경이 좋지 않아 정신적·육체적 스트레스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.

    - 프로그램 연출과 기획을 위한 전문지식이 필요하며 제작진을 통솔할 수 있는 권한과 자율성이 부여되는 편이다. 사회적으로 평판이 좋으며 사회에 대한 공헌도와 소명의식이 높게 나타났다.

    - 성별에 따른 차별이 없는 편이나 고령자친화성은 낮게 나타났다.



    임금수준

    - 방송연출가가 포함된 감독 및 기술감독의 월평균 수입은 371만원이다.



    클릭한번으로 공감 번씩만 부탁드릴께용!

    반응형

    댓글

Designed by Tistory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