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소음진동기술자 같이 알아보자
    직업의 정보가 궁금해? 2019. 2. 28. 22:06
    반응형


    소음진동기술자(유사직업명: 소음진동기사)

    관련학과/관련자격

    관련학과: 보건환경과 , 환경공학과 , 환경과학과 , 환경관리과 , 환경보건학과

    관련자격: 소음진동산업기사 , 소음진동기사 , 소음진동기술사



    하는일

    - 소음진동기술자는 각종 공사현장 등에서 기계 및 장비의 사용으로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을 측정하고, 생활환경을 오염시키는 소음 및 진동을 최소화하고 해소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연구, 개발한다.

    - 소음과 진동을 측정, 분석하고 소음과 진동의 원인을 제거 또는 감소시킬 수 있는 방지시설이나 방법 등을 연구, 개발한다.

    - 소음방지시설의 타당성을 검토하고 시공이나 운전상의 문제점 등을 점검하고 평가하여, 이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한다.

    - 환경통제 또는 환경보호의 한 분야를 전문으로 연구·개발하기도 한다.



    적성 및 흥미

    - 물리 및 환경 공학과 관련된 지식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, 소음진동검사 결과를 왜곡 없이 객관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도덕성과 직업윤리의식이 요구된다.

    - 현장을 직접 찾아다니면서 소음진동 등을 검사해야 하므로 신체적으로 건강해야 하며, 청각에 별다른 이상이 없어야 한다.

    - 소음 및 진동의 원인을 규명하고 이를 창의적이고 논리적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해결능력이 요구된다.

    - 현실형과 탐구형의 흥미를 가진 사람에게 적합하다.



    취업현황

    입직 및 취업방법

    - 공채나 특채를 통해 건축 또는 기계업체, 소음진동방지 설계시공업체 등에 채용될 수 있다.



    고용현황

    - 소음진동기술자가 포함된 환경공학 기술자의 종사자수는 14,600명이며, 이 가운데 임금근로자는 14,200명(97.3%)이다. 

    - 소음진동기술자가 포함된 환경공학 기술자의 성비는 남자 75.1%, 여자 24.9%이며, 평균 연령은 39.3세이다. 전체적으로 평균 16.8년의 학력을 보유하고 있으며, 평균 계속 근로연수는 8.6년이다.



    준비방법

    정규 교육과정

    - 소음진동기술자가 되기 위해서는 전문대학이나 대학교의 환경공학 관련 학과를 졸업하는 것이 유리하다.

    관련 자격증

    - 관련 국가자격증으로는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소음진동기사, 소음진동기술사 및 산업기사가 있다.



    직업전망

    - 소음진동기술자가 포함된 환경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은 다른 직업과 비교하여 임금과 복리후생이 높은 편이다. 

    - 정규직 채용 비율이 높고 연구의 연속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고용유지 또한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.

    - 능력에 따른 승진가능성이 높고 직장이동가능성이 높아 발전가능성이 높은 편이다. 

    - 근무시간이 길지 않고 정신적ㆍ육체적 스트레스가 적어 근무여건이 좋은 편이다. 

    - 높은 수준의 전문지식이 필요하며 업무에서의 자율성 및 권한을 비교적 보장받는 편이다. 

    - 전문직으로 사회적 평판이 높고 공공에 대한 기여도 및 소명의식이 높아 전반적인 직업전문성이 높게 평가된다.



    임금수준

    - 소음진동기술자가 포함된 환경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의 월평균 수입은 364만원이다.



    클릭한번으로 공감 번씩만 부탁드릴께용!

    반응형

    '직업의 정보가 궁금해?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    손해사정사 같이 알아보자  (0) 2019.02.28
    속기사 같이 알아보자  (0) 2019.02.28
    소설가 같이 알아보자  (0) 2019.02.28
    소방관 같이 알아보자  (0) 2019.02.27
    소믈리에 같이 알아보자  (0) 2019.02.27

    댓글

Designed by Tistory.